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주 4·3 사건의 진실 – 아픔을 넘어 화해로

by yun0709 2025. 4. 11.
반응형

1947년 3월부터 1954년 9월까지 이어진 민간인 집단희생의 역사

1. 제주 4·3 사건이란?

제주 4·3 사건(濟州四三事件, Jeju April Third Incident)은 1947년 3월 1일 발포 사건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무장봉기와 이후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벌어진 민간인 집단학살 사건입니다.

당시 제주도 내 남조선노동당(남로당) 계열 무장대와 이를 진압하려는 미군정, 대한민국 정부 간의 갈등 속에서 무고한 민간인 다수가 학살되는 비극이 벌어졌습니다.

2. 사건의 역사적 배경

  • 식량난과 콜레라, 해방 후 혼란으로 사회 불안이 극심
  • 남로당의 선전과 조직화: 1946년부터 제주에 공산주의 세포조직 확산
  • 1947년 3·1절 기념식에서 경찰 발포 사건으로 시민 사망 → 민심 악화
  • 전 도민 총파업 및 시위 확산 → 경찰의 과잉진압
  • 1948년 5·10 단독총선 반대를 위한 남로당의 무장투쟁 시작

3. 사건의 전개 과정

1948년 4월 3일 – 무장봉기 발발

남로당 김달삼을 중심으로 한 무장대가 새벽 2시경 제주 전역 24개 경찰지서 중 12곳을 동시 기습. 경찰, 우익단체, 관련 인사 집을 공격하며 본격적인 무력 충돌 시작.

초기 진압 (1948.4~1948.10)

미군정과 대한민국 국방경비대는 사건을 '폭동'으로 간주하고 군대 및 서북청년단을 투입해 강경 진압을 시작함. 김익렬 연대장 등은 귀순 작전을 시도했으나 실패.

강경 진압기 (1948.10~1949.3)

제주 전역에 계엄령 선포 및 해안선 5km 이내로 소개령 발령. 산간마을 주민들을 ‘폭도 협조자’로 간주하고 수많은 집단학살과 방화가 이어짐.

사태 종결기 (1949~1954)

유격대 지도자 이덕구 사살(1949) 이후 무장대 와해. 1954년 한라산 금족령 해제로 사건 종결.

4. 피해 규모

  • 추정 희생자 수: 약 25,000~30,000명
  • 정부 공식 인정: 14,442명 (2019년 기준)
  • 진압군에 의한 희생: 7,624명 (전체의 78.7%)
  • 무장대에 의한 희생: 1,528명 (15.7%)
  • 어린이·노인 등 비무장 민간인 희생: 약 2,089명 (14.5%)
  • 진압군 전사자: 1,091명 (군인·경찰·우익단체 포함)
  • 파괴된 마을: 중산간 87개 마을 소개, 폐허된 ‘잃어버린 마을’ 134곳

5. 정부의 대응과 사과

  • 1999년 《제주 4·3 특별법》 제정
  • 2003년 노무현 대통령, 국가 책임 인정 공식 사과
  • 2003년 제주 4·3 평화공원 개장
  • 2019년 국방부 및 경찰청 공식 사과
  • 2019년 생존 수형인에 대한 공소기각 및 무죄 취지 판결
  • 2025년 ‘제주 4·3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6.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2025)

2025년 4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제주 4·3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역사 기록물이 아니라, 국가폭력, 민간인 학살, 인권회복과 화해의 정신을 전 세계에 알리는 상징적 의미를 지닙니다.

7. 오늘날의 의미

제주 4·3은 단순한 폭동이나 무장 충돌이 아니라, 국가에 의해 자행된 인권 탄압의 상징입니다.

이제 우리는 이 비극의 역사를 올바르게 기억하고, 미래 세대에게 민주주의와 인권의 소중함을 전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매년 4월 3일, 대한민국은 ‘제주 4·3 희생자 추념일’을 통해 그들의 넋을 기리고 화해의 미래를 다짐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