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의 누런 콧물이 계속된다면? 유아 부비동염(소아 부비동염)의 증상과 관리법

by yun0709 2025. 4. 22.
반응형

아이의 콧물이 몇 주째 계속되거나, 감기 증상이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심해진다면 부비동염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유아들은 면역력이 약하고 비강 구조가 완전히 성숙되지 않아 쉽게 부비동염에 걸릴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유아 부비동염의 증상, 원인, 치료법, 가정에서의 관리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부비동염이란?

부비동은 얼굴 뼈 안에 있는 공기 주머니로, 점액을 배출해 코 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부비동염(축농증)**이라고 하며, 특히 3세 이상 유아부터 발병률이 점점 높아집니다.


🔍 유아 부비동염의 주요 증상

증상설명
✅ 지속적인 누런 콧물 감기 후 10일 이상 누런 콧물이 멈추지 않음
✅ 코막힘 잘 때 입을 벌리고 자거나, 코골이 동반
✅ 기침 특히 밤에 심하고, 오래 지속됨
✅ 얼굴 통증 또는 부위별 불편감 이마, 눈 아래, 볼 부근 등
✅ 열 미열 또는 고열이 동반되기도 함
✅ 식욕 저하, 짜증 컨디션 저하로 인해 예민해짐

⚠ 감기와 부비동염, 어떻게 구분할까?

항목일반 감기부비동염
지속 기간 보통 7~10일 10일 이상 지속되거나 악화
콧물 색깔 맑거나 흰색 누렇거나 초록색, 점액성
기침 초반에 심하다가 점점 완화 오히려 시간이 갈수록 심해짐
가끔 미열 경우에 따라 고열 발생 가능

🩺 진단과 치료는 어떻게?

소아청소년과 또는 이비인후과에서 진찰을 통해 진단합니다.
심한 경우 X-ray 또는 CT 촬영을 하기도 하며, 주요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항생제: 세균 감염에 의한 경우 10~14일 복용
  • 비강 세척: 생리식염수로 콧속 청결 유지
  • 해열제·진통제: 열과 통증 완화
  • 흡입기 또는 스프레이: 코 점막 붓기 감소

※ 바이러스성 감기의 후속으로 나타난 경우, 항생제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관리법

  • 💧 수분 섭취 충분히 하기 (점액 배출 도움)
  • 🛁 따뜻한 수증기 흡입 (욕실 샤워 후 공기 활용)
  • 🌡 실내 습도 조절 (40~60% 권장)
  • 💤 충분한 휴식 및 수면
  • 🤧 코 세척 훈련 (3세 이상부터 가능)
  • 🚫 감기 초기에 코풀기 강요 금지 (귀 염증 유발 가능)

❗ 예방이 중요합니다

  • 감기 초기부터 비강 관리 철저히!
  •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아이는 부비동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더 큽니다.
  • 공공장소 외출 시 마스크 착용 습관화

👩‍⚕️ 마무리 정리

유아의 콧물이나 기침이 오래 지속된다면 단순한 감기가 아닐 수 있습니다.
부비동염은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빠르게 회복될 수 있으니, 증상이 지속될 경우 반드시 소아과를 방문해보세요.

반응형